-
TCP 기반 서버/클라이언트카테고리 없음 2023. 7. 1. 08:49
1.TCP/IP 프로토콜 스택 4개의 계층
APPLICATION 계층 TCP UDP IP LINK - TCP, UDP 스택 계층 차이 : IP -> 신뢰성
2. TCP/IP 프로토콜 스택 중 LINK 계층과 IP 계층 담당 역할, 관계
LINK 계층 HOST - ROUTER - LAN - HOST 물리적인 영역의 표준화 IP 계층 데이터를 전송할 떄마다 거쳐야 할 경로 선택, 에러 발생 시 미 해결 - LINK 계층에서 packet의 dest를 지정하는 것이 IP이다.
3. TCP/IP 스택4개의 계층으로 나누는 이유(개방형 시스템과 연관 지어서)
- 라우터와, 랜카드와 같은 하드웨어의 통일성을 위해서
4. 서버의 어떤 함수 호출 후, 클라 connect 함수 호출 가능?
- listen 함수
5. 연결요청 대기 큐 생성 순간, 역할, accept 함수와 관계
- listen -> client가 connect이 완료 되거나, 실패 할 때 까지 대기
- accept -> 연결요청 대기 큐에 있는 clinet의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기능
6. 클라이언트 소켓 bind 미 호출시 IP, PORT 할당 방식
- 커널에서, 호스트에 할당된 IP, PORT는 임의로